맨위로가기

세이 도시히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이 도시히코는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로, 투수였다. 고등학교 졸업 후 1964년 니시테쓰 라이온스에 입단하여 1967년까지 활동했고, 1968년부터 1975년까지는 긴테쓰 버펄로스에서, 1976년에는 한신 타이거스에서 선수 생활을 했다. 긴테쓰 버펄로스 시절인 1969년에는 최고 승률 타이틀을, 1972년에는 최우수 평균 자책점 타이틀을 획득했다. 1966년에는 노히트 노런을 달성했으며, 올스타전에 두 번 출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니시테쓰 라이온스 선수 - 가토 하지메
    가토 하지메는 일본 프로 야구 선수 출신으로, 투수로서 19년간 활동하며 신인왕 수상, 노히트 노런 달성 등의 활약을 펼쳤으며, 은퇴 후에는 야구 해설가와 지도자로 활동하다가 직장암으로 사망했다.
  • 니시테쓰 라이온스 선수 - 다키우치 야스오
    다키우치 야스오는 일본 프로 야구 선수로서 니시테쓰 라이온스에서 내야수로 활동했으며, 은퇴 후에는 여러 팀에서 코치와 2군 감독을 맡아 많은 선수를 육성했고 만성 심부전으로 사망했다.
  • 긴테쓰 버펄로스 선수 - 노모 히데오
    노모 히데오는 독특한 투구폼으로 유명하며 NPB와 MLB에서 모두 성공을 거둔 일본의 前 프로 야구 선수이자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투수로, 일본 선수들의 메이저 리그 진출 붐을 일으킨 선구자이다.
  • 긴테쓰 버펄로스 선수 - 백인천
    백인천은 중화민국 출신의 대한민국 야구 선수 및 감독으로, 일본과 한국에서 선수와 지도자로 활동하며, KBO 리그에서 1982년 최고 타율을 기록하고, LG 트윈스를 우승으로 이끌었으며, 해설위원으로도 활동했다.
  • 미야자키현 출신 - 사카이 마사토
    사카이 마사토는 일본의 배우로, 연극, 드라마, 영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드라마 《리갈 하이》와 《한자와 나오키》 시리즈에서 주연을 맡아 연기력을 인정받았으며, 2013년 배우 간노 미호와 결혼했다.
  • 미야자키현 출신 - 기무라 다쿠야 (야구인)
    기무라 다쿠야는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로, 포지션을 가리지 않는 유틸리티 플레이어였으며,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히로시마 도요 카프, 요미우리 자이언츠에서 선수 생활을 하고 2004년 아테네 올림픽 국가대표로도 활약했으나, 2009년 은퇴 후 코치로 활동하다 지주막하 출혈로 사망했다.
세이 도시히코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선수명세이 도시히코
원어명Toshihiko Sei
일본어 표기清 俊彦
로마자 표기Toshihiko Sei
가나せい としひこ
한자清 俊彦
국적일본
출신지미야자키현 고유군 신토미정
생년월일1945년 9월 3일
사망일2017년 11월 15일
신장179
체중80
利き腕오른쪽
타석오른쪽
수비 위치투수
프로 입단 연도1964년
첫 출장1964년 6월 9일
마지막 경기1976년 6월 9일
경력
고등학교미야자키현립 고나베 고등학교
프로 구단니시테쓰 라이온스 (1964 - 1967)
긴테쓰 버펄로스 (1968 - 1975)
한신 타이거스 (1976)

2. 선수 경력

세이 도시히코는 1964년 니시테쓰 라이온스에 입단하여 프로 선수 경력을 시작했다. 이후 긴테쓰, 한신 타이거스에서 투수로 활약했다.

1969년 최고 승률 타이틀, 1972년 최우수 평균 자책점 타이틀을 획득하는 등 긴테쓰의 에이스 투수로 활약했다.[10]

2. 1. 프로 입단 전

7살 위의 형에게 야구 지도를 받으며 성장했다. 중학교 시절에는 1학년 때부터 투수로 등판하여 2학년 때 에이스가 되었다.[2] 다카나베 고등학교 1학년 때인 1961년에 예비 투수로서 하계 고시엔 대회에 출전, 아키타 상업고등학교와의 1차전에서 마무리 투수로 기용됐지만 0대 1로 패하여 탈락했다.[8] 그해 가을부터 팀의 에이스로 추계 규슈 대회 결승에서 가고시마교쿠류 고등학교에게 완봉승을 거두면서 우승했다. 이듬해인 1962년 춘계 선발 대회에 출전했지만 1차전에서 나카쓰카 마사유키가 소속된 PL가쿠엔 고등학교에게 패했다.[9] 그해 여름에는 미야자키현 예선 결승에서 미야자키 공업고등학교에게 0대 1로 졌고, 1963년 여름에도 역시 미야자키현 예선 결승에서 다카하시 히로시, 오가와 도루가 소속된 미야자키 상업고등학교에게 패했다.

2. 2. 니시테쓰 라이온스 시절 (1964년 ~ 1967년)

清 俊彦|세이 도시히코일본어는 1964년 니시테쓰 라이온스에 입단하여 와카바야시 다다시 수석 코치의 지도를 받고 컨트롤을 익혔다.[2] 입단 첫 해부터 11경기에 선발 등판했지만 안정감을 잃었다.

1965년에는 주로 중간 계투로 기용되었고, 그해 여름 급성 간염으로 입원하기도 했다.[2]

1966년에는 이나오 가즈히사의 쇠퇴로 선발진에 합류했다. 개막 이후 호조를 보였고, 6월 12일 고쿠라 구장에서 열린 긴테쓰 버펄로스전에서 노히트 노런을 달성했지만,[2] 시즌 5승에 그쳤다.

1967년에는 주로 구원 투수로 등판하여 4승을 기록했다.

2. 3. 긴테쓰 버펄로스 시절 (1968년 ~ 1975년)

1968년 다카기 다카시, 기쿠카와 쇼지로와의 맞트레이드로 긴테쓰 버펄로스에 이적하여 1년 차부터 팀의 4선발로 활약하며 6승을 올렸다.[8] 1969년에는 18승을 기록하며 최고 승률 타이틀을 획득했다.[10] 이후 3년 연속 두 자릿수 승리를 기록하며 스즈키 게이시에 이은 우완 에이스로 활약했다. 1972년에는 팀내 최다인 19승을 올렸고, 8월에는 3경기 연속 완봉승(8월 16일 도에이전, 8월 22일 니시테쓰전, 8월 27일 난카이전)[10]과 시즌 2.36의 최우수 평균 자책점 타이틀을 획득했다. 1969년과 1970년에는 2년 연속 올스타전에 출전했다.

1973년에는 투구 내용이 급격히 나빠졌고, 오타 고지, 이모토 다카시 등 젊은 투수들의 활약으로 출전 기회가 줄어들었다.[7]

2. 4. 한신 타이거스 시절 (1976년)

1976년 현금 트레이드로 한신 타이거스에 이적했지만, 시즌 중반에 선수 생활을 은퇴했다.[2]

3. 은퇴 이후

은퇴 후에는 라디오 오사카KBS 교토에서 야구 해설자로 활동했다. 2017년 11월 15일 오후 4시 24분, 폐렴으로 사이타마현 사야마시의 한 병원에서 사망했다(향년 72세).[7]

4. 상세 정보

세이 도시히코는 7살 위의 형에게 야구 지도를 받으며 성장했다. 중학교 시절에는 1학년 때부터 등판하여 2학년 때 에이스가 되었다.[2]

은퇴 후에는 라디오 오사카KBS 교토에서 해설자를 맡았으며, 해설자 퇴임 후에는 자격증 교재 제작 회사에 근무했다.[2]

2017년 11월 15일 오후 4시 24분, 폐렴으로 사이타마현 사야마시의 병원에서 사망했다.[1]

4. 1. 출신 학교

미야자키현립 다카나베 고등학교

4. 2. 선수 경력

다카나베 고등학교 시절인 1961년 1학년 때 예비 투수로서 하계 고시엔 대회(제43회 전국 고등 학교 야구 선수권 대회)에 출전했다. 아키타 상업고등학교와의 1차전에서 마무리 투수로 기용됐지만 0대 1로 패하여 탈락했다.[8] 그해 가을부터 팀의 에이스로 추계 규슈 대회 결승에서는 가고시마교쿠류 고등학교에게 완봉승을 거두면서 우승했다. 이듬해 1962년 춘계 선발 대회(제34회 선발 고등학교 야구 대회)에 출전했지만 1차전에서 나카쓰카 마사유키가 소속된 PL가쿠엔 고등학교에게 패했다.[9] 그해 여름에는 미야자키현 예선 결승에서 미야자키 공업고등학교에게 0대 1로 졌고, 1963년 여름에도 역시 미야자키현 예선 결승에서 다카하시 히로시, 오가와 도루가 소속된 미야자키 상업고등학교에게 패했다.

1964년 니시테쓰 라이온스에 입단하여 와카바야시 다다시 수석 코치의 지도로 컨트롤을 익히고 1년 차부터 11경기에 선발 등판했지만 안정감을 잃었고, 이듬해 1965년에는 주로 중간 계투로 기용됐다. 1966년에는 이나오 가즈히사의 쇠퇴로 인해서 선발진에 들어갔다. 개막 이후부터 호조를 유지하고 그해 6월 12일 고쿠라 구장에서 열린 긴테쓰 버펄로스전에서 노히트 노런을 달성했지만 시즌 5승에 그쳤고 이듬해 1967년에도 4승에 그치는 등 부진을 겪었다.

1968년에 다카기 다카시, 기쿠카와 쇼지로와의 맞트레이드로 긴테쓰에 이적, 1년 차부터 팀의 4선발로 활약하여 6승을 올렸다. 1969년에는 시즌 18승을 기록했고, 이후에도 3년 연속 두 자릿수 승리를 기록하는 등 스즈키 게이시에 뒤를 이어 우완 에이스격으로 활약했다. 그 사이 1969년에는 최고 승률 타이틀을 획득, 1972년에는 팀내 최다인 19승을 올렸고 8월에는 3경기 연속 완봉승(16일 도에이전, 22일 니시테쓰전, 27일 난카이전)[10]과 시즌 2.36의 평균 자책점으로 최우수 평균 자책점 타이틀을 석권했다. 1969년과 1970년에는 2년 연속 올스타전에 출전했다.

하지만 긴테쓰가 리그 최하위로 떨어진 1973년에 자신의 투수 성적도 급격하게 하락했고 오타 고지, 이모토 다카시 등 젊은 투수들의 활약도 있어서 점차 기회가 줄어들었다. 1976년에 현금 트레이드로 한신 타이거스에 이적했지만 시즌 중반에 선수 생활을 은퇴했다.

4. 3. 수상 및 타이틀 경력

4. 4. 개인 기록

세이 도시히코는 1966년 6월 12일 고쿠라 구장에서 열린 긴테쓰 버펄로스전에서 노히트 노런을 달성했다.[7] 1969년에는 최고 승률 타이틀을 획득했고, 1972년에는 19승과 평균 자책점 2.36으로 최우수 평균 자책점 타이틀을 차지했다.[10] 1972년 8월에는 3경기 연속 완봉승(16일 도에이전, 22일 니시테쓰전, 27일 난카이전)을 기록했으며,[10] 1969년과 1970년에는 올스타전에 2회 출전했다.[7]

4. 4. 1. 첫 기록


  • 첫 등판: 1964년 6월 9일, 대 난카이 호크스 12차전(오사카 스타디움), 5회말에 4번째 투수로서 구원 등판, 2이닝 무실점[7]
  • 첫 탈삼진: 상동, 5회말에 아나부키 요시오로부터[7]
  • 첫 선발·첫 승리·첫 완투 승리·첫 완봉 승리: 1964년 6월 12일, 대 도에이 플라이어스 6차전(메이지 진구 야구장)[7]
  • 첫 세이브: 1974년 4월 7일, 대 난카이 호크스 전기 2차전(오사카 스타디움), 9회말에 3번째 투수로서 구원 등판·마무리, 1이닝 무실점[7]

4. 4. 2. 기록 달성 경력

기록 종류내용달성 날짜 및 비고
첫 등판난카이 호크스 12차전 (오사카 스타디움)1964년 6월 9일, 5회말 4번째 투수로 구원 등판, 2이닝 무실점[7]
첫 탈삼진상동, 5회말 아나부키 요시오로부터1964년 6월 9일[7]
첫 선발·첫 승리·첫 완투 승리·첫 완봉 승리도에이 플라이어즈 6차전 (메이지 진구 야구장)1964년 6월 12일[7]
첫 세이브난카이 호크스 전기 2차전 (오사카 스타디움)1974년 4월 7일, 9회말 3번째 투수로 구원 등판·완료, 1이닝 무실점[7]
1000 투구 이닝롯데 오리온즈 2차전 (도쿄 스타디움)1971년 4월 11일, ※역대 149번째[7]
1500 투구 이닝태평양 클럽 라이온즈 전기 4차전 (니세이 구장)1973년 5월 11일, ※역대 73번째[7]
1000 탈삼진닛타쿠 홈 플라이어즈 후기 4차전 (고라쿠엔 구장)1973년 9월 7일, 2회말 스에나가 요시유키로부터 ※역대 47번째[7]
100승닛폰햄 파이터즈 후기 13차전 (니세이 구장)1975년 10월 4일, 5회초 4번째 투수로 구원 등판, 3⅓이닝 2실점 ※역대 66번째[7]
노히트 노런긴테쓰 버팔로즈 9차전 (고쿠라 구장)1966년 6월 12일, ※역대 36번째[7]
3경기 연속 무실점 승리도에이 플라이어즈 21차전 (니세이 구장) - 같은 해 8월 27일, 난카이 호크스 19차전 (이세시 구라타야마 공원 야구장)1972년 8월 16일 ~ 8월 27일, ※퍼시픽 리그 기록[7]
올스타전 출장2회 (1969년, 1970년)[7]


4. 4. 3. 기타 기록

4. 5. 등번호


  • '''37''' (1964년 ~ 1967년)[7]
  • '''14''' (1968년 ~ 1975년)[7]
  • '''12''' (1976년)[7]

5. 연도별 투수 성적


도소









봉무
4
구승

리패



















4













W
H
I
P
1964년니시테쓰3511311411----.267505119.1118143603641060483.631.291965년22300022----.50022455.25161002291029254.021.101966년471411056----.455494128.010272823882038292.041.021967년51800045----.444443108.18973338780041342.831.131968년긴테쓰491610068----.429601141.0134125356731065583.701.331969년47231121187---- .720861214.118317561051512060532.231.121970년462512101416----.467916227.01872263381380097833.291.101971년472811401514----.517934236.01882165641482088782.971.071972년452610521914----.576941236.119121671241580172622.361.091973년4522610517----.227756174.01882359768911107914.711.421974년2912420562--.455467111.111194030414054463.731.361975년71000300--1.0007818.2202801500883.791.501976년한신50000000------276.271000200445.141.05통산 : 13년475189591741001062--.48572471776.21569162518515010641427236193.141.17

참조

[1] 뉴스 西鉄投手で活躍清俊彦さん死去 宮崎日日新聞 2017-11-18
[2] 서적 プロ野球人名事典 2003 日外アソシエーツ 2003
[3] 서적 全国高等学校野球選手権大会70年史 朝日新聞社編 1989
[4] 서적 選抜高等学校野球大会60年史 毎日新聞社編 1989
[5] 서적 県別全国高校野球史 東京堂出版 2001-07-01
[6] 간행물 週刊ベースボール 2011-06-27
[7] 뉴스 西鉄投手で活躍清俊彦さん死去 미야자키 니치니치 신문 2017-11-18
[8] 서적 전국 고등학교 야구 선수권 대회 70년사 아사히 신문사 편 1989
[9] 서적 선발 고등학교 야구 대회 60년사 마이니치 신문사 편 1989
[10] 간행물 슈칸 베이스볼 2011-06-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